(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외형이 커지고 있지만 세계 100대 부품업체에 속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성차업체 계열사 또는 친족기업 4개사만 100대 부품 메이커에 진입했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송병준)은 29일 발표한 "자동차부품 중견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내 중견기업군에서 차부품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어섰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부품 1차 협력업체 420개사를 분석한 결과 2008~2010년 평균 매출액 1천500억원을 웃돈 중견기업이 85개, 평균 매출액 1천억원 이상이 56개로 모두 141개사가 중견기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중견기업은 총 1천422개로 이중 차부품업체가 10%를 차지한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뉴스의 집계에 따르면 매출 1조3천억원 이상인 세계 100대 부품업체에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단 한 곳도 포함되지 못했다. 100대 업체에는 모비스, 위아, 다이모스 등 현대기아차 계열사와 친족기업인 만도 등 4개사만 포함됐다. 타이어업체(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를 포함하면 6곳이었다.
또 국내 자동차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집약도(R&D투자액/매출액)는 일본의 5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 R&D투자는 1998년 1조6천815억원에서 2011년 4조5천373억원으로 2.7배 증가했다. 그러나 R&D 집약도는 2.6%(2011년)로 일본(4.8%)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준이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차부품 중소·중견기업이 성장에 필요한 자금, 인력, 정보 부족에 시달리고 있어 종합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oakchu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