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 주도국 명성, EV로 부활 선언
증기기관을 통해 근대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영국이 전기 동력 기반의 EV 헤게모니 확보를 선언했다. 특히 동력 부문에서 ‘내연기관 vs 전기’ 갈등이 나타나는 유럽연합과 달리 영국은 EU 회원국이 아니어서 독자적으로 EV 산업을 한발 앞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31일 외신 등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최근 25억 파운드(한화 약 4조6,000억원) 규모의 EV 산업 투자 계획 ‘DRIVE35’를 발표했다. 향후 10년간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EV 부문 제조업을 집중 육성하는 게 목표다. 당연히 제조 부문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EV 개발을 주도하려 한다. 한 마디로 영국을 글로벌 EV 생산 및 수출 국가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대형 제조 공장 설립은 물론 새로운 기술 개발에 나서는 스타트업까지 광범위하게 지원한다.
‘DRIVE35’에 따르면 투자 비용 가운데 20억 파운드(한화 약 3조6,800억원)는 2030년까지 EV 제조 및 인프라 확충에 사용한다. 나머지 5억 파운드는 EV 미래 기술 개발에 투입해 2035년부터 영국 내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제조사는 영국에 생산 기반을 둔 국내외 모든 기업이 대상이다.
DRIVE35와 별도로 특정 프로젝트에 3억 파운드(한화 약 5,500억원)도 투자한다. 특정 프로젝트란 EV 부품 생산을 지원하는 ‘아스테모(Astemo)’ 프로젝트, EV용 핵심 부품 제조를 지원하는 ‘다나(Dana)’ 프로젝트, 그리고 자동화 및 연결성 강화를 위한 ‘CAM(Connected & Automated Mobility)’ 프로그램, EV 충전 인프라 확대 프로그램 등이다. 이외 영국 전역의 구급차를 전기차로 바꾸고 충전기 사용이 쉽도록 도로 표지판 개선, 기지형 충전소 설치 비용 지원, EV 구매 보조금 제공 등도 포함된다. 한 마디로 전기차 제조, 소비자 구매, 이용 편의성 향상 등을 모두 감안해 전후방 산업의 파급 효과 극대화에 나서는 형국이다.
이 가운데 주목할 점은 EV 구매 보조금이다. 영국 정부는 3만7000파운드(한화 약 6,800만원) 이하 EV에 최대 3,750파운드(약 691만원)의 보조금을 제공한다. 지난 2022년 중단했던 보조금을 다시 부활시켜 보급 속도를 높인다는 의미다. 당시 보조금을 중단하며 제조사의 EV 판매 의무를 도입, 보급을 늘렸지만 제조 및 수입사들이 어려움을 호소하자 지난 7월부터 다시 보조금을 지급키로 결정한 셈이다. 보조금 예산으로 총 6억5000만파운드(한화 약 1조1,970억원)를 배정해 오는 2029년까지 지급한다.
한편, 이번 보조금 재도입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영국은 2030년 내연기관 판매를 전면 중단할 계획이다.
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